솔향기

감은사지 [感恩寺址]통일신라 절터및 문무왕릉

사찰여행

감은사지 [感恩寺址]통일신라 절터및 문무왕릉

솔향기43 2014. 2. 19. 10:07

사랑해감은사지 [感恩寺址]통일신라 절터쌩유

(장소: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동해안)

 

사적 제31호. 〈삼국유사〉에 문무왕(文武王)이
왜병을 진압하기 위해 역사를 시작했으나
중도에 죽자 그의 아들 신문왕(神文王)이 즉위해 682년

(신문왕 2) 완성했으며,

 

 

 금당의 기단 아래에 동향한 구멍을 두어

이곳으로 해룡(海龍)이 된 문무왕이

문무왕이 들어와 서리도록 했고, 또 유서에 따라 골(骨)을

 매장한 곳이 절의 앞바다에 있는 대왕암(大王岩)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절의 이름은 본래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에서 진국사(鎭國寺)였으나

 신문왕이부왕의 호국충정에 감사해 감은사(感恩寺)로 고쳐 불렀다.

 

 

1960년과 1979~80년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이탑식가람(二塔式伽藍)배치로 남북보다 동서 회랑의 길이가 길며,

양 탑의 중앙부 뒷면에 앞면 5칸,

옆면 3칸의 금당터가 확인되었다.

 

 

또한 금당의 바닥구조가 H자형의 받침석과 보를 돌다리처럼 만들고

1960년과 1979~80년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이탑식가람(二塔式伽藍)배치로 남북보다 동서 회랑의 길이가 길며,

양 탑의 중앙부 뒷면에 앞면 5칸,

옆면 3칸의 금당터가 확인되었다. 또한 금당의 바닥구조가

 H자형의 받침석과 보를 돌다리처럼 만들고

 

                               제 뒤로 보이는 곳이 문무왕릉(文武王陵)이다 사적 제158호로 지정된

                           신라 문무왕의 해중왕릉(海中王陵)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다
                               용이 되어 침입해 들어오는 왜구를 막겠다고 한 유언을 따라서 장사한 것이다.
                           이 바위를 대왕암(大王巖) 또는 대왕바위라 하며, 해중왕릉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